반응형
전체적인 INFCON2022에 대한 후기는 INFCON 2022 후기 글을 참고 해 주세요.
개인 코멘트
얄팍한 코딩사전 채널을 운영하는 고현민님의 발표 입니다. 개인적으로 현민님의 영상들을 너무 좋아하고, 특히 최근에도 graphQL 영상을 재밌게 봤습니다. 중간에 오타가 있는 부분이 있어 이메일을 드리니 바로 수정도 해 주시고 피드백에 대한 대응도 너무 좋으셔서 인상적이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머나먼 오지의 개발자
- 자기소개 : 프리랜서, 지식공유자. 요즘에는 제법 큰 다음 강의를 준비 중
- 포항의 스타트업에서 커리어 시작, 주변에 동종업계 종사자도 없고 컨퍼런스에 참여할 기회도 없고 사수도 없는 고독한 나홀로 개발자.
- Struts 1 버전을 쓰는 구식 개발 스택과 구식 업무방식. 개발자 문화의 부재로 인해 개발자로서 도태될까 두려웠고 셀프성장을 위해 고군분투
방향잡고 물길 찾기 : 토이프로젝트
- 실사용을 목표로 개발부터 배포, 자동화, 실사용
- 다양한 삽질로 인한 경험치 상승
- 다양한 기술 스택을 접목 해 보기. 회사에서는 내가 해보고 싶은걸 다 자유롭게 해볼수 없지만 토이 프로젝트에서는 가능하다
- 이때의 경험이 나중에 회사에서의 실무 적용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물 끌어올리기: 지식공유
유트브
- 유투브를 시작한 계기 : 책이나 문서로 좀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주제를 남에게 설명해주기 위해
- 정보를 나만의 방식으로 재구성 하면서 지식의 깊이가 깊어지고 나만의 정의를 통해 내 것이 된다.
- 지적 댓글의 공포는 큰 스트레스. 이 부담 때문에 더욱 철저하게 준비를 하게 된다.
- 하지만 시간 투자 대비 효율이 좋지 않음. 특히 편집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생각하면 유투브를 추천 하기는 쉽지 않음
강의제작
- 유투브에 비해 가성비가 좋음 (유투브에 비해 촬영 외적 비용이 적음, 강의에만 집중 할 수 있음)
- 각 주제를 마스터하는 가장 좋은 방법. 대충 할 수 없으니 억지로라도 성실히 철저하게 공부하게 됨.
- 나만의 강의 커리큘럼을 구성함으로서 공부가 많이 됨
- 질문에 답하며 수강생들의 시행착오를 대리 경험. 이 역시 성장에 크게 도움이 됨
- 수익을 통한 인센티브. 힘든 과정에 대한 동기부여 및 보상이 됨
책 집필
- 유투브나 강의 제작과는 또 다른 경험.
- 한정된 페이지에 선별된 지식을 정제해 넣는 작업이 생각보다 굉장히 고되고 오랜 작업.
- 개발자는 책을 쓰기에 수월한 직업. 블로그나 유투브의 좋은 컨텐츠를 보고 출판사가 먼저 컨택을 해온다.
- 내 이름이 저자명으로 된 책을 보며 큰 성취감을 얻고 그로인해 더욱 다음 작업의 원동력이 됨.
마무리
- 가장 중요한 건 성장을 향한 갈망. 안주의 유혹을 끊임없이 경계해야함
- 인센티브가 있는 목적으로 동력을 불어넣기. 스스로 새로운 도전에 대한 동기와 목표
- 나만의 성장 로드를 뚫기. 아무리 척박한 환경에서도 길을 찾자.
반응형
'Development > Dev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프콘 2022후기] 어느 날 고민 많은 주니어 개발자가 찾아왔다 (0) | 2022.08.27 |
---|---|
[인프콘 2022후기] 10만 connection 그까이꺼, Armeria 서버 한 대면 끝! (0) | 2022.08.27 |
[인프콘 2022후기] 인프런 아키텍처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0) | 2022.08.27 |
[인프콘 2022후기] 실리콘밸리로 떠나는 비전공자 개발자의 지난 4년 회고 (0) | 2022.08.27 |
INFCON 2022후기 [인프콘] (0)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