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wright MCP를 활용해 LLM이 스스로 UI 수정하게 하기

IntroLLM에게 UI 수정을 요청할 때마다 브라우저를 새로고침하며 결과를 확인하고, 다시 수정 요청을 하는 과정이 반복되곤 한다. 코드는 잘 생성해주지만, 실제로 의도한 대로 동작하는지는 직접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가끔 여러번의 수정 요청에도 제대로 처리가 되지 않으면 잘 안된 부분에 대해 브라우저의 devtools에서 현 상황을 보여주거나 스크린샷을 찍어서 직접 LLM에게 건네기도 한다. 해결에는 큰 도움이 되지만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Playwright MCP를 활용하면 이런 수작업을 LLM이 스스로 처리하도록 만들 수 있다. AI가 직접 브라우저를 제어하며 수정 사항을 적용하고, 스크린샷을 찍어 확인하고, 문제가 있으면 다시 수정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한다.Playwrighth..

Data/LLM 2025.11.20
Git Worktree 를 활용한 Claude Code 병렬 실행

IntroAGENTS.md 파일에 스펙을 명확히 정의해두고 , PLAN.md 파일을 생성해 수행할 체크리스트를 작성해두어 컨텍스트를 유지하게끔 하며 Claude Code나 Codex-cli 로 모노레포에 함꼐 들어있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번갈아가며 개발을 진행하곤 했다.다양한 AI AGENT 에서 활용하려면 CLAUDE.md, GEMINI.md 등 심볼릭링크를 생성해둬야 한다. 혹은 해당 파일명으로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고 내용에 @AGENTS.md 만 작성해둬도 알아서 추적 한다.그런데 개발할 스펙이 이미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고 프론트와 백엔드를 서로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면 굳이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며 개발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여러 개발자들로부터 적극 추천되었던 Git wo..

Data/LLM 2025.11.19
클로드 코드 vs 커서 비교 사용기

IntroClaude Code와 Cursor는 현재 개발자들 사이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는 AI 코딩 에이전트다.아쉽게도 아무리 찾아봐도 이 둘의 상세한 사용기를 다룬 글이 별로 없었다. X(트위터)에서 Claude 구독을 시작하며 Cursor를 해지했다는 개발자들의 후기가 종종 올라오긴 했지만, 구체적인 이유는 잘 설명되지 않았다. 그래서 직접 둘 다 써보고 비교 글을 작성해보기로 했다.보통은 Cursor에서 Claude Code로 갈아타는 케이스가 많을 텐데, 나는 반대로 Claude Code에서 Cursor로 넘어간 케이스다.Claude Code를 만족하며 썼지만, $20짜리 Pro 플랜은 업무용으로 쓰기엔 리밋에 너무 자주 걸렸다. MAX 플랜은 금액이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마침 Cursor ..

Data/LLM 2025.09.15
Deepseek r1 모델을 로컬에서 돌려보자

Intro이전 글에서 LLAMA3 로컬 설치 실행 및 테스트 를 해보았다. 최근 제한된 자원으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LLM인 Deepseek가 화제다. X(Twitter) 에서 관련 글이 잔뜩 올라오기 시작하더니 얼마 지나지 않아 주식시장에서 엄청난 파장을 일으키는 바람에 모든 사람들이 다 알게 되었다. 안그래도 제한된 자원으로 자체적으로 LLM을 구축하자니 성능이 아쉽고 컴퓨팅파워가 너무 많이 들어가고 그렇다고 상용모델(OpenAI)을 사용하자니 비용이 부담되는 상황에서 굉장히 솔깃한 내용이다.특히 R1 모델의 경우에는 믿거나 말거나 겨우 80억의 비용으로 o1 모델에 대적하는 성능을 만들어냈다는데 뉴스에서는 검열이니 중국이라 믿을 수 없다느니 이상한 소리만 해댄다. 애초에 오픈소스 대형 언어모델로..

Data/LLM 2025.02.02
LLAMA3 로컬 설치 실행 및 테스트

IntroLLM 모델 하면 ChatGPT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지만, 오픈소스 AI 모델들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LLAMA3는 Meta에서 개발한 대규모 언어 모델로, 오픈소스 모델 중에서도 상당히 주목받고 있다. 이를 로컬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가 Ollama다. Ollama는 간단한 명령어로 LLAMA3 같은 모델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로, REST API까지 제공해서 확장성도 꽤 뛰어나다. 이번 글에서는 LLAMA3를 설치하고 실행해 본 경험을 바탕으로 이 모델의 장단점과 활용 가능성을 리뷰해 보려고 한다.설치 및 실행설치리눅스 및 macOS 환경에서는 명령어 한줄로 실행 가능하다.그 외의 환경(Windows)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서 설치한다.https://..

Data/LLM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