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우분투에서 우분투 설치 USB 드라이브 만들기

Intro 전에는 MacOS 및 Windows 에서 우분투 설치 드라이브를 만들었었는데, 이번에 우분투 설치 드라이브를 만들어 야 할 일이 생겼는데 사용중인 컴퓨터가 마침 우분투라서 그 과정을 정리 해 보았습니다. 윈도우나 맥북에서 했던 것 보다 훨씬 쉽고 간단하게 생성이 가능했습니다. 1. 우분투 다운로드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링크에 접속해 원하는 버전의 우분투를 다운 받습니다. 저는 Ubuntu 22.04.1 LTS Desktop 버전을 다운 받았습니다. 서버용도로 사용할 게 아니라면 Desktop 버전을 다운 받으면 됩니다. 다운받은 파일은 총 3.6 GB 입니다. 2. Startup Disk Creator 설치 부팅 가능한 설치 디스크를 생성 하기 위해서..

IT ⁄ Computer/Linux 2022.12.29
(Linux 서버로 사용중인) 노트북 SSD/하드 추가 및 마운트

Intro 지난번에는 노트북에 램을 추가시켰습니다. 본격적으로 이것 저것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려고 하는데 저장공간이 이미 거의 다 차버렸습니다. 하단의 비어있는 2.5인치 SATA 슬롯 다행히도 램을 추가하면서 확인해보니 여분의 2.5인치 sata 슬롯이 비어있는걸 확인 했었기에 저렴한 하드를 하나 구입하려고 알아보던 차에 쿠팡에서 512GB SSD가 하드보다도 싼 가격에 반짝 딜이 올라왔고, 바로 구입을 해서 설치 해 보았습니다. SSD 설치 SSD는 설치는 그냥 비어있는 슬롯에 꼽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정말 쉽습니다. 같은 공간에 2.5인치 하드디스크를 구입해서 설치 해도 됩니다. SSD는 그냥 꼽고 땡이지만 하드디스크는 물리적 충격에 민감하기 때문에 고정하는 작업이 보통 추가로 필요합니다. 파티션 ..

IT ⁄ Computer/Linux 2022.12.01
(Linux 서버로 사용중인) 노트북 메모리 추가

Intro 집에서 2년째 가벼운 서버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이 있습니다. 클라우드를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다면 그게 최선이겠지만, 여러 가지 무료 클라우드를 비교 해 보았을 때, 오라클에서 제공하는게 가장 좋음에도 불구하고 최대 2개의 인스턴스 및 각각 1GB의 메모리를 사용 할 수 있다보니 도커 기반의 무엇인가를 올리기에는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오라클 클라우드는 개인 ip 주소를 드러내지 않기 위한 간단한 프론트 서버의 용도 정도로만 사용 하고 있습니다. 제가 필요한 컨테이너 중에는 메모리를 크게 차지하는게 몇몇 있는데, 그 중에서도 엘라스틱 서치는 평소에도 제 PC 기준 5GB 정도의 많은 메모리를 잡아먹습니다. 램 용량과 클라우드 비용은 정비례를 할 만큼 램의 크기는 비용에 큰 ..

IT ⁄ Computer/Linux 2022.11.27
[Ubuntu 20.04] 우분투 서버에 Plex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구축기

Intro 집에서 와이프가 넷플릭스로 드라마를 보다가 스트리밍 서비스에 올라와있지 않은 영상은 애플티비로 볼 수 없는지 투덜대었습니다. 집에 남는 노트북에 우분투 서버를 올려 개인 서버 역할을 한지 어느덧 1년이 넘어가고 있는데, 그걸 이용하면 될 것 같아서 일단 된다고 대답을 했습니다. 그리하여 시작된 Plex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구축기를 시작 해 보겠습니다. PLEX 설치 패키지 업그레이드 일단 시작에 앞서 모든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해 줍니다.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 Plex 공식 저장소 등록 https://support.plex.tv/articles/235974187-enable-repository-updating-for-supported-linux-..

IT ⁄ Computer/Linux 2022.06.25
Linux) watch 명령을 이용해 ls 명령어 실시간 호출하기

Intro 서버에 파일 업로드할 때 임시 파일이 생성되고 소멸되는 시점과 소요 시간 등을 확인 하기 위해 ls -al 명령어를 계속 치고 있었습니다. 임시 파일을 생성 하거나 삭제 할 때에 로그를 남기는 방법이 있지만, 스프링이 MultipartFile 을 받아 임시 파일을 생성하는 시점을 확인 하려니 쉽지 않았습니다. spring: servlet: multipart: location: /home/shane/Downloads SpringBoot 에서는 aplication.yml에 위의 설정을 통해 임시 파일이 생성되는 경로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탐색기를 띄워 두어 눈으로 확인 할 수도 있지만, SSH 로 서버에 접속해서 상태를 확인 할 때는 얄짤없이 ls -al을 계속 타이밍 해야 했는데요 watch..

IT ⁄ Computer/Linux 2022.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