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가끔 필요한 일이 돌아왔다.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속해서 뭔가를 변경 해야 한다. Docker 네트워크 내에서만 통신하고 외부로는 바인딩도, 포트 포워딩도 되어 있지 않으니, 번거롭게 다시 설정 하고 컨테이너 재시작 할 필요 없이 컨테이너 내부에 접속해서 바로 변경하면 되겠군. 얼른 마칠 생각을 하며 PostgreSQL 이 떠 있는 컨테이너에 접속하는중 docker exec -it postgres_container bash 이제 psql을 써볼까나..? psql 명령어와 함께 손에 익은 옵션을 기계적으로 붙이는중 psql -U postgres 앗.. postgres 유저가 없다..? 참. 나는 다른 이름으로 유저명을 지정했지 유저명을 변경해 재시도 하는 중 psql -U my_user_name..
Data 43
Intro 여러가지 산출물 작업을 해야 하는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내용들은 이미 워낙 방대하기 때문에 도저히 손으로 작업 할 엄두가 나지 않았습니다. 필요에 의해 쿼리를 작성 했으나 추후 또 필요할 경우가 생겼을 때 시간을 절약 하기 위해, 또한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글로 작성해 남겨두려 합니다. SQL 제가 산출물 작업 하면서 필요한 내용들 위주로 쿼리를 작성 하였기 때문에 필요한 자료가 조금씩 다를 경우에는 일단 실행 해본 후에 쿼리를 약간씩 수정해서 사용 하시면 됩니다. 전체 테이블 주석과 실제 테이블명 조회 테이블에 주석을 달아놓지 않았다면 NULL로 표기됩니다. 평소에 주석을 꼭 달아두어야 나중에 서류 작업 할 때 편합니다. 예시를 들기 위해 엉뚱한 D..
https://solr.apache.org/guide/8_11/solr-tutorial.html Intro Apache Solr 공식 튜토리얼 문서를 따라 진행해보며 조금은 더 이해하기 쉽게 각색 해 보았습니다. 모두 아시는 것처럼 최고의 레퍼런스는 공식 문서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공식문서가 항상 가장 이해하기 쉬운 것은 아닙니다. 최대한 쉽게 작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있었겠지만 애초에 문서 작성자와 튜토리얼 사용자의 눈높이가 다를 수밖에 없고 언어도 영어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시간과 집중력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Apache Solr를 처음 사용해보는 입장에서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생소한 용어들에는 주석을 달았으며 어려울 수 있겠다고 생각 되는 부분들은 최대한 자세히 풀어서 진행해 보았습니다. 해당 ..
도커 컨테이너에 있는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서 psql로 계층형 쿼리 조회하고 그 결과를 csv 파일로 저장해서 로컬로 가져오기 계층형 쿼리 상품 p 가 있고, 아이디는 product_id, 상위 product는 parent_product_id 라고 할 때, 아래와 같이 계층형 쿼리를 작성 할 수 있습니다. with recursive search_product(product_id) as ( select p.* from product p where product_id =21306 union all select p.* from product p, search_product sp where k.parent_product_id = sp.product_id ) select * from searc..
Intro docker-compose로 ELK 스택을 구축하는 간단한 링크 https://shanepark.tistory.com/241?category=1203908 하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극히 개인적인 gaia.best 서버를 띄우기 위해 간단하게 오라클과 엘라스틱 서버만 띄우고 로그 스태시로 해당 엘라스틱 서치로 부터 파이프라인을 한차례 받아오는 과정 까지를 기록 해 두려고 합니다. 바로 이전 포스팅 https://shanepark.tistory.com/285 에서 도커 컨테이너를 백업 하려고 하던 찰라에 엘라스틱 서치 컨테이너에 큰 문제가있다는 것을 발견해서, 그냥 엘라스틱 서치 컨테이너를 날려 버리고 데이터를 새로 밀어넣으려고 합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기록을 위한 포스팅이지만 어느 누군가에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