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liJ IDEA 에서 javadoc 주석 다는 단축키 지정하기

Eclipse에서는 Command+Option+J ( Windwos는 Alt + Shift + J) 를 입력 하면 간단하게 javadoc comment 를 달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을 때 ​ arrayConverter 메서드에 커서를 올린 후, 해당 단축키를 입력 하면.. 아주 간단하게 javadoc을 작성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IntelliJ IDEA 에서는 해당 단축키가 없기 때문에 /** 를 입력 후 엔터를 치는 방식으로 입력 해야 하는데요, ​ ​ 지금부터 그 단축키를 지정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일단 인텔리제이 에서 해당 Action의 이름을 찾아 보니 fix doc comment 라고 쓰여 있습니다. ​ 혹은 Option(Alt) 엔터를 눌러서 Add Jav..

Development/Develop Tools 2021.09.11
블로그에 포스팅 읽는데 걸리는 시간 표시해주기 by reading-time.js

https://shanepark.tistory.com/224 에 이어지는 글 입니다. 이번에는 블로그에서 직접 적용을 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 블로그 적용하기 전 화면입니다. 작성 일 우측에 공간이 꽤 남기 때문에 해당 공간이 넣으면 되겠습니다. 우측 상단 버튼을 눌러 블로그 관리에 들어 갑니다. ​ 그러고 나서 좌측의 꾸미기 메뉴에 보면 "스킨 편집" 버튼이 있습니다. ​ 거기에서는 html 편집 으로 들어갑니다. 이제 수정할 요소가 어느 부분에 있는지 찾아야겠죠? Mac 에서는 Command + Shift + C, 윈도우에서는 Ctrl + Shift + C 를 누르고 찾고자 하는 요소에 마우스를 올립니다. 제목이 있는 요소가 h2.title-article 입니다. ​ 금방 찾아 줍니다. ​ html..

Development/HTML ⁄ CSS 2021.09.10
reading-time.js 활용해 읽는 시간 표시해주기

Intro 요즘 해외 뉴스나 블로그 등 에서 많이 사용 되고 있는 reading time 라이브러리 입니다. 보통 글의 header 부분의 제목 바로 다음에서 해당 article을 읽는데 대략 어느 정도가 걸리는지 시간으로 알려줌으로서 독자들이 빠르게 대강 읽을 지 혹은 천천히 꼼꼼히 읽을지를 그것도 아니면 안읽고 말지에 대해 결정하게끔 도와 줍니다. 보통 이런식으로 얼마나 걸릴지를 미리 가늠할 수 있게 해줍니다. 저도 reading-time.js 를 블로그에 도입 하고자 그 기능들을 확인 해 보고 있습니다. 함께 하나씩 따라 해 보면서 기능을 익혀보겠습니다. 시작 https://github.com/michael-lynch/reading-time 일단 공식 Github repository에 들어가 정보를..

Development/HTML ⁄ CSS 2021.09.10
티스토리 이미지 클릭시 원본 사이즈 모달 구현하기

티스토리는 기본적으로 lightbox를 지원합니다. 그런데 이게 지원하는 정도가 아니라 아에 해당 css와 js 파일을 뺄 수 없을 정도로 못 박아 두었습니다. 뭐 사용하기에만 편하면 된다 생각하는데, 문제는 제가 티스토리를 순수 markdown으로 작성하고, 첨부하는 이미지들도 Github에 올리고 링크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올리다 보니, Tistory의 기본 lightbox가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이미지를 클릭 할 때 이미지를 크게 볼 수 있게끔 스스로 구현해야 했는데, 쉽게 될 줄 알았는데 꽤나 헤맸습니다. 처음에는 어차피 강제적으로 들어 가 있으니 lightbox를 사용 해 보려고 했는데 생각처럼 잘 되지 않았습니다. 그 후에는 클릭시 에 정확히 이미지 크기의 새 창..

Development/HTML ⁄ CSS 2021.08.26
Sourcetree 에서 잘못된 비밀번호로 저장소 접근 안될때 해결방법

원인 소스트리에서는 한번 입력된 비밀번호가 잘못 되어도 절대 다시 입력하라고 하지 않고, 계속해서 비밀번호가 틀렸다는 메시지만 주구 장창 띄웁니다. 심지어 8월 13일 부로 Github에서는 password authentication을 공식적으로 제거하고는 personal access token 만을 사용하도록 정책을 변경 했는데요. 이미 오래전 부터 경고해왔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일은 아닙니다. ​ 하지만 Sourcetree에서는 인증에 실패하였을때 새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끔 해주지 않기 때문에 대책이 필요합니다. 예전에도 팀원 분중 한분이 소스트리에 Gitub 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했다가 로그인 되지 않아서 지웠는데도 계속해서 비밀번호 입력하라는 창은 뜨지 않고 인증 실패만 나오니까, 구글에 "소스트리 ..

Development/Git 2021.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