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다식 (Lambda Expression)

Lambda는 2014년 3월 18일에 발표한 java 8에서 추가된 대표적인 기능입니다. 자바에 대한 함수형 언어의 기능 요구가 끊임없이 있어 왔고, 객체지향언어인 자바가 함수형 언어의 기능까지 갖추게 하는 일은 쉽지 않았을 테지만 그 어려운 일을 똑똑한 개발자들이 해준 덕분에 우리는 이 좋은 기능을 사용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람다식이란? 람다는 간단하게 말해서 메서드를 하나의 식으로 표현 한 것입니다. 람다식은 함수를 간략하면서도 명확한 식으로 포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 메서드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면 메서드의 이름과 반환값이 없기 때문에 람다식을 "익명함수" 라고 부릅니다. 객체지향 언어인 자바에서는 method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요, 특정 클래스에 반드시 속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함..

Programming/Java 2021.08.29
Vue.js 사용 하기 4 ) PostgreSQL로 간단 게시판 작성 해보기 - 조회 및 수정 기능 추가

Vue.js 사용 하기 3) postgreSQL 게시판에서 Modal 이용하기 에 이어지는 글 입니다. ​ 마지막으로 Vue를 활용해 게시판을 조금 더 "사용할 수 있음" 에 가깝게 수정 해 보았습니다. ​ 일단 개별 글의 "조회" 기능을 추가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게시판 목록 에서는 삭제 버튼이 사라졌습니다. 각 글의 제목을 누르면 개별 글을 조회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수정 버튼을 누르면 게시글 수정이 가능합니다. 게시글 수정은 게시글 작성 모달을 그대로 재활용하며 상황에 따라 다르게 작동하도록 하여 코드의 양을 줄이고 변경에 용이하도록 하였습니다. ​ 게시글 작성을 보면 아시겠지만 위의 "수정"과 거의 동일합니다. ​ 서버쪽은 전혀 변한게 없고 vueboard.html 파일만 변경 하였습니..

Programming/javascrlpt 2021.08.28
IntelliJ IDEA) Devtools 사용해 HTML, CSS 등 정적자원 서버 재시작 없이 새로고침

2022년 1월 1일 기준으로 새로 업데이트 합니다. 인텔리제이 버전이 2021.3으로 업데이트 되며 메뉴 구성이 약간씩 바뀌어서 거기에 맞춰 새로 변화 했습니다. 설정이 자주 변하다보니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는 입장에서는 많이 불편 할 수 있지만 자세히 보면 결국 위치만 바뀐게 대부분이라서 최대한 변화에 맞춰 글을 업데이트 하는 방향으로 해보겠습니다. 혹시 버전이 바뀌어 메뉴가 또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시면 바로 반영 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문서를 참고 했습니다.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using.html#using.devtools Intro 스프링 부트 뿐만 아니라 웹 프로젝트를 할 때에 단..

Programming/JPA ⁄ Spring 2021.08.25
java ) Fail-Safe Iterator vs Fail-Fast Iterator

1 소개 이번 글에서는 Fail-fast와 Fail-Safe Iterator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어로 된 문서를 읽으며 공부하다보니 의미에 맞게 번역하는 과정에서 제가 전문 번역가가 아니라 다소 표현이 딱딱한 느낌이 날 수도 있습니다. 간단한 차이를 말씀드리고 시작하자면, Fail-Fast 시스템에서는 오류가 발생하는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오류를 알립니다. 또한 진행중이던 전체 작업을 모두 중단시킵니다. 반면에 Fail-Safe 시스템에서는 문제가 생겨도 작업을 중단 하지 않습니다. 해당 시스템에서는 오류 발생을 가능한 피하려고 합니다. ​ ​ 2 Fail-Fast Iterators java의 컬렉션은 modCount 라는 내부의 counter를 운용합니다. Collection에 item이 ..

Programming/Java 2021.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