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 로 Spring Boot 프로젝트 만들기. 1) STS설치 및 프로젝트 생성

STS 로 Spring Boot 프로젝트 만들기. 1) STS설치 및 프로젝트 생성 참고서적 : [길벗] 스프링부트 프로그래밍 입문 - 쇼다 츠야노 아래 페이지에서 본인에게 맞는 STS 를 다운 받습니다. 저는 Eclipse용 STS4를 다운 받도록 하겠습니다. https://spring.io/tools Spring Tools 4 is the next generation of Spring tooling Largely rebuilt from scratch, Spring Tools 4 provides world-class support for developing Spring-based enterprise applications, whether you prefer Eclipse, Visual Studio Co..

Programming/JPA ⁄ Spring 2021.07.09
Groovy로 Spring boot 어플리케이션 개발해보기. 2) 템플릿 작성하기

Groovy로 Spring boot 어플리케이션 개발해보기. 2) 템플릿 작성하기 참고서적 : 스프링부트 프로그래밍 입문 - 쇼다 츠야노 [길벗] html{ head{ title('index page') } body{ h1('hello') p('world!') } } VS코드를 이용해 위와 같은 template을 작성 했습니다. 이후 index.tpl 이라는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같은 경로에 templates 라는 폴더를 만들고 해당 폴더에 저장 해 줍니다. @Controller class App{ @RequestMapping("/") @ResponseBody def home(ModelAndView mv){ mv.setViewName("index") mv } } app.groovy 파일의 코드 입니다. ..

Programming/JPA ⁄ Spring 2021.07.09
Mac) Groovy로 Spring boot 어플리케이션 개발해보기. 1) Hello world

Groovy로 Spring boot 어플리케이션 개발해보기. > Mac OS X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windows를 사용하는 분들도 수동 다운로드를 한다면 비슷하게 진행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getting-started.html#getting-started.installing.cli Getting Started If you are getting started with Spring Boot, or “Spring” in general, start by reading this section. It answers the basic “what?”, “how?” and “why?” ques..

Programming/JPA ⁄ Spring 2021.07.08
스프링부트) Spring Boot 시작하기.

프로그래머스를 통해 Naver Webtoon 코딩테스트에 참가를 해 보았습니다. 아직 1차 테스트를 합격 한 건 아니지만, 2차 과제 테스트 기술인 Spring Boot를 한번도 해본 적이 없어서 이번에 한번 시도해보려고 합니다. )https://spring.io/projects/spring-boot Spring Boot는 Spring framework를 좀 더 쉽고 간단하게 사용하게 해주는 툴 이라고 이해하면 될 듯 합니다. 위의 소개를 요약하자면, Spring boot는 spring 기반의 stand alone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 할 수 있는 상태로 쉽게 만들어 준다고 합니다. war 파일을 deploy 할 필요도 없이, Tomcat 등이 내포 되어 있다고 하구요. xml 설정..

Programming/JPA ⁄ Spring 2021.07.05
Javascript) 웹사이트 혹은 웹 어플리케이션에 단축키 추가하기

최종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막바지에 추가했던 '단축키' 기능입니다.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은데 발표할때 반응은 꽤나 좋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실제로 싱글페이지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하면서, 그 난이도 상승에 비해 얻은 설계상 이점이 크지 않다고 느꼈지만 반대로 싱글페이지가 아니었으면 추가하지 못했을 기능 중 하나 입니다. ( 뭐 억지로 할라면 했겠지만 싱글페이지가 아니라면 그 의미가 떨어지는 기능입니다) 아이디어와 디자인 단축키 아이디어는 Google Docs와 Figma 에서 얻었습니다. 요즘 왠만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정말 전부 웹에서 자유자재로 실행할 수 있게끔 세상이 흘러가고 있다고 생각되는데요, 우연히 단축키 기능을 찾게 되었는데 이게 정말 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

Programming/javascrlpt 2021.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