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프로젝트 ) gaia 후기와 그 과정

시작하기전에. 관심있는분은 아래 내용들을 클릭해서 확인해주세요. https://github.com/ddit301/gaia 발표영상 과 테스트영상 Youtube 링크 입니다. 1. 서론 길다면 길었고 짧다면 짧았던 8주간의 최종 프로젝트가 종료되었습니다. 처음 3 주 가량을 프로젝트 기획 및 각종 서류 작업으로 보냈고, 나머지 5주동안 구현 및 발표준비를 했습니다. 색깔로 확연히 할 수 있는 각각의 팀 프로젝트 기간 약 8개월 동안의 학원 수업 기간 동안 초급, 중급, 최종 총 3번의 팀 프로젝트를 진행 했습니다. 오늘 뭐먹지 ? 내 주변 맛집 검색과 리뷰 등록 콘솔 서비스 Java, Oracle, JDBC, AWS RDS Github : http://github.com/Shane-Park/playddit..

Development/DevLife 2021.07.18
2021 네이버 웹툰 개발 챌린지 후기

Programmers를 통해 Naver webtoon 코딩 테스트를 봤습니다. 난생 처음 쳐보는 코딩 테스트였기에 경험삼아 한번 봐도 손해볼 것도 없고 해서 도전 해 보았습니다. 일요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두시간의 시간을 주고 하는 테스트였는데. 얼마나 어려운 문제가 나올지 기대도 되고,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도 참 궁금했습니다. 1차 코딩테스트 ( 2021.07.04 일요일) 총 3개의 프로그래밍 문제가 출제 되었습니다. 첫번째 문제를 11분만에 풀었고, 두번째 문제를 풀고 나니 45분쯤 지나있었고 세번째 문제 마저 풀고 제출을 하고 시간을 보니 총 52 분이 지났습니다. 평소의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이때는 수 많은 테스트케이스를 바로 바로 돌려주며 효율성 점검까지 해주기 때문에 여러번 제출 해 보면..

Development/DevLife 2021.07.11
17주차) 중간프로젝트 PLAYDDIT 회고

Intro 수업 17주차에 발표를 했는데, 어느덧 벌써 20주차가 지나갔습니다. 19주차 수업이 끝난 주말에는 꿈에 그리던 배포에도 성공했습니다. playddit.net 주소로 운영 해 왔지만 지금은 서버를 닫았습니다. 발표를 2주쯤 남겼을 때부터는 매일 꿈속에서 코딩이나 로직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는 날이 없었을 정도로 열정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모든걸 쏟아부었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을 만큼 열심히 했지만 그만큼 아쉬움도 많이 남고 여러모로 부족한 점에 대해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던 프로젝트라고 생각합니다. 아래 영상은 간단하게나마 프로젝트 시연을 해보았습니다. 발표 당시 영상을 녹화하긴 했지만, 어두운 실내에서 멀찍이서 고프로로 촬영했다보니 4k 화질로 촬영을 했어도 의미 있는 부분만 크롭..

Development/DevLife 2021.04.04
7주차 ) 초급 조별 프로젝트 "오늘 뭐먹지" 발표

한주동안 열심히 준비한 조별프로젝트가 마감되었습니다. 저는 스스로를 완벽주의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완벽주의 성격과 자존심 덕분에 스스로에게 많은 동기부여가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그 댓가를 혹독하게 치르기도 합니다. 이번 첫 조별 프로젝트를 통해 몇일동안 잠도 설치며 큰 대가를 치루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1분까지 팀원들과 치열하게 준비한 덕분에 후회없는 발표를 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이번 프로젝트 진행을 통해 얻은 부분은 팀원들과의 협업 경험이 가장 컸던 것 같습니다. 팀원들 모두가 적극적인 참여를 해 주었고, 팀원들 한명 한명 모두가 소속감을 가지고 목표 달성을 위해 함께 최선을 다해줬다는 점이 프로젝트 진행 내내 저를 가슴 벅차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저희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

Development/DevLife 2021.01.01
6주차 ) 첫 조별 프로젝트

6주가 지났습니다. 뭐라도 할 수 있을까? 에서 뭐든 할 수 있겠다. 싶을 정도로 많은 것들을 새로 배우고 있습니다. 조별 과제를 시작했습니다. 코딩을 하는데 협업을 단 한번도 해본적이 없기 때문에 기대보다는 막연함이 앞섰습니다. 조별과제가 시작된 직후엔 압박감과 무력감에 스트레스가 굉장히 심해졌습니다. 주어진 시간은 1주일 뿐인데 당장에 할 수 있는게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앉은 컴퓨터 자리대로 3명씩 팀을 배정해 주셨습니다. 다행히도 바로 옆자리 팀원은 수업시간에 막히는 부분이나 어려운 부분이 있으면 서로 도와가며 하다 보니 지금 배우고 있는 java 와 database 에서 서로 어느 부분까지 어느 정도로 이해를 했는지 대부분 인지를 하고 있었습니다. 이 친구는 수업내용을 조금은 어려워 하지..

Development/DevLife 2020.12.26